리눅스/OS 설정

[SuSE15SP] Swap 파티션 삭제 및 재생성

ㅎㄷㄹㅁㅇ 2022. 1. 11. 21:14
반응형

SWAP 파티션 삭제 및 재생성

 

정보 확인

* SuSE15를 기준으로 작성했지만, Redhat CentOS 등의 리눅스도 동일하게 적용합니다.

 

가정 :  OS 영역의 최하위에 SWAP 이 존재 할 경우

ex)
/dev/sda1 = /boot
/dev/sda2 = /boot/efi
/dev/sda3 = /
/dev/sda4 = swap

 

SWAP Size 재설정

### root 에서 진행 ###

 

Step 1.  /etc 의 OS 설정 백업

# tar -cf /root/growin/etc.tar /etc

 

 

 

Step 2. lsblk 명령어를 통한 swap 파티션 확인

# lsblk | grep swap

 

 

 

Step 3. /etc/fstab  설정 파일 변경 (기존 SWAP 파티션 주석)

 

# vi /etc/fstab 
...
#UUID=XXXXXX-XXXXXX-XXXXXX     swap      swap defatuls  0 0
...

 

 

 

Step 4. fdisk 명령어를 통한 sda4 재생성 

# fdisk /dev/sda
[p] Enter #현재 상태 확인
[d] Enter #파티션 삭제
Partition number (1-4, default 4): 4 Enter  #4번째 파티션 삭제
[n] Enter #새로운 파티션 생성
Partition number (4-128, default 4): 4 Enter #4번째에 파티션 생성
First sector (34-62914526, default 62912512): Enter (default) #sector지정
Last sector, +/-sectors or +/-size{K,M,G,T,P} (62912512-62914526, default 62914526): +128G Enter  <- 원하는 용량
Created a new partition 4 of type 'Linux filesystem' and of size XXX KiB.
[p] Enter #현재 상태 확인
[t] Enter  #파티션 타입 지정
Partition number (1-4, default 4): 4 Enter #4번째에 파티션 타입 지정
Partition type (type L to list all types): 19 Enter # Linux swap 타입
Changed type of partition 'Linux filesystem' to 'Linux swap'.
[p] Enter #현재 상태 확인
* 참고
ex) [p] Enter의 경우  p를 누르고 엔터를 치면 됩니다.

 

 

 

Step 5.  Swap 재생성

# mkswap /dev/sda4
Setting up swapspace version 1, size = 1000 KiB (XXX bytes)
no label, UUID=XXXXXX-XXXXXX-XXXXXX

 

 

 

Step 6.  blkid 명령어를 통한 SWAP 파티션의 UUID 확인

# blkid  | grep swap

 

 

 

Step 7. /etc/fstab 파일의 내용을 수정  (UUID를 복사 하거나 명령어를 통해 삽입)

 

[직접 등록]
# vi /etc/fstab 
UUID=XXXXXX-XXXXXX-XXXXXX  /boot  xfs  defaults  0  0



[명령어를 통한 등록]
# echo "UUID=$(blkid  | grep swap | awk -F \" '{print$2}')   swap       swap    defaults        0 0" >> /etc/fstab

 

 

Step 8. SWAP 명령어를 통한  swap 파티션 on   

# swapon /dev/sda4
# free -g

 

 

반응형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