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자격증

[RHCSA] 시험 전 Check Point + 후기

ㅎㄷㄹㅁㅇ 2024. 1. 17. 18:49
반응형

시험 전 CHECHK Point

영어가 어려워도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외국어 시험은 아니지만, 외국계 회사에서 출제하는 시험이다. 영어를 준비해야 하는 것이 좋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 영어를 잘하지 못한다고 채팅에 말을 하면 감독관이 한국어로 직접 번역해 준다. 궁금한 사항에 대해 답변을 한국어로 번역해주며 시험 내용을 한글로 설명 해주니 크게 걱정할 필요가 없다.
대부분 쉬운 영어이지만, 혹시 모를 걱정으로 감독관과의 인사 후 바로 영어를 못한다고 했다.

아래 표현이 영어를 잘 하지 못한다는 표현이다.
나는 I can not speak English 라고 했는데 생각해보니 틀린 표현이라 찾아보니 아래가 맞는 표현이라고 한다.

  • I’m not good at English.
    나 영어 잘 못해.
  • I’m not that good at English.
    나 영어 그 정도로 잘하진 못해.
  • My English is really bad.
    내 영어 실력 정말 별로야.

 

익숙하지 않은 시험 환경에 당황 할 필요가 없다.

시험 환경에서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내가 불편한 자리는 남도 불편하다. 하지만 그나마 더 편하게 느낄 수 있으려면 이미지를 그리면 되고 그 이미지는 텍스트를 읽고 상상하면 편하다. 시험 장소를 조금 더 편하게 상상해 보자.

  • 영우 디지털에서 시험을 봤으며, 서브웨이가 위치한 건물이다.
  • 건물 정문 입구에서 오른쪽에 계단이 위치해 있고 2층이라 걸어 올라가면 된다.
  • 시험 시간 15분 전부터 입실이 가능하며, 그 전까지는 로비에서 기다리면 된다.
  • 물,음료 이외에는 들고 들어갈 수 없으므로 음식물은 들고 가지 않는다.
  • 신분증 또는 여권이 필요하다.
  • 시험을 보는 장소에는 노트북 1대 와 웹캠 1대가 위치해 있으며, 응시자 기준 왼쪽에 웹캠을 두는 공간이 있으나 감독관이 웹캠의 위치를 옮기라고 할 수 있다.
  • 시험 코드와 레드햇 ID를 적어 넣는 부분이 있으므로, 확인하고 입실해야 한다. (코드는 이미 적혀있고, 레드햇 ID만 들고가면 된다.) RHEL8: EX200V8K / RHEL9: EX200V9K
  • 시험관이 왼쪽 하단의 채팅으로 시험에 대한 설명을 해주며, 신분증 확인 및 시험 공간 확인을 한다. 신분증 확인 후 시험장 확인을 하는데 전방향/책상 아래 위 등 모두 확인한다.
  • 시험 화면은 레드햇 GUI모드로 되어있다.
  • 시험 시작 전 설문지가 있다. 영어로 되어있지만 당황하지 않고 천천히 읽으며 체크하면 된다.(어디서 공부했냐, 직업군 체크 등등)
  • 설문지 이후 시험 문제로 넘어가는데, 마음대로 누르지 않고 시험 화면에서 기다리면 설명해준다. (설명 듣기 전 이것저것 누르면 시험이 시작된다. 본인이 그랬다.)
  • 중간 쉬는 시간을 요청 할 수 있으며, 대부분의 응시자들은 따로 요청하지 않는 듯 했다. 정말 화장실이 급한 경우에만 요청했을 것 같다. (요청 시 10분)
  • 시험 중간에 감독관이 웹캠으로 책상 주변을 보여 달라고 하는데, 잘 보고 보여주면 된다. 만약 시험에 집중해서 메세지를 보지 못하면 감독관이 화면을 일시중지 시키는데 놀라지 말고 지시대로 진행하면 된다.

 

어떤 화면에서 시험을 볼까?

위에서 언급했다시피 불편한 상황에서 미리 알고 간다면, 조금이라도 덜 실수 할 수 있다. 어떤 화면으로 시험을 볼까? 해당 시험은 RHEL 서버의 GUI 화면으로 시험을 본다. 정확하게 기억은 나지 않지만 대략적인 화면은 아래와 같다.

Pasted image 20240117180953.png

  • VM 을 제어할 수 있는 버튼이 있다. (시작, 중지, 리부팅, 재생성 등)
  • VM 에 터미널을 접속 할 수 있는 버튼이 있다.
  • 언어 설정이 영어와 한국어 등으로 번역이 가능하다. RHCSA의 경우는 한국어로 봐도 크게 불편한 점이 없었다.
  • 남은 시간이 3:00 처럼 시간 단위로 나오고 줄어드는 형식이다.
  • 화면 가운데는 사전 안내 사항 / Server A / Server B 를 볼 수 있는 화면으로 구분되어진다.
  • 오른쪽 하단에는 메시지 창 및 Break time 요청을 할 수 있는 버튼이 있다.

 

어떤 시험이 나올까?

RHCSA 시험은 구글에 Dump를 작성해 놓은 블로그가 많이 있었다. Dump 답게 거의 똑같이 나왔고 몇개의 문제를 제외하고는 대상 이름만 바꿔서 나왔다. 따라서 문제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적지 않고 어떤 문제가 나오는 지에 대한 것만 기재하겠다.
따로 팁을 적자면, 모든 구성이 완료된 뒤 리부팅을 해보고 미비한 부분이 있는지 확인을 반드시 해야한다. 시험이 끝나면 끝난 상태로 채점을 진행하는 것이 아니라, 2대의 서버 모두 리부팅 이후 채점을 하기 때문에 데몬이 enable이 되어 있지 않다거나, 설정에 영구적용이 되어있지 않으면 0점 처리가 된다.

RHCSA8 기준
  • 네트워크 설정

네트워크 설정은 nmcli 명령어를 통해 변경이 가능하지만, nmtui를 통해 직관적으로 바꾸는 것을 권고한다. 물론 ifcfg 파일을 만들어 적용해도 크게 상관없다.
IP,NETMASK,GATEWAY,DNS 설정

 

 

  • 호스트네임 설정

hostnamectl 명령어를 통해 설정하자.

 

 

  • repo 설정

원격 repo에 대한 접근을 하면 된다. 패키지 저장소의 주소를 알려주기 때문에 어렵지 않다.
혹시 모르는 gpgcheck 관련 내용을 확인하고 가자.

 

 

  • 계정 생성

어떤 계정을 어떤 Shell을 이용해서 생성 할 것인가를 물어본다. 또한 접속 불가, 패스워드 설정 등이 있다.

 

 

  • Selinux 디버깅

Selinux 가 켜져 있을 경우 특정 프로세스의 문제 발생을 해결하는 문제이다.

 

 

 

  • 파일 권한 설정

파일 권한 및 소유자 설정은 애매한 부분이 많다. chmod로 설정해도 되지만, 정확하게 설정을 하기 위해서는 #ACL 을 이해하고 설정하는 것이 맞다. chmod, chown 명령어로만 설정하게 되면 부족한 부분이 있어 보인다.

 

 

  • Cron 설정

Cron 설정을 하면 된다. 정확한 설정 방법을 숙지하고 가자.

 

 

 

  • 협력 디렉토리 생성

소유자와 그룹 사용자에 대해 이해하고 설정하자.

 

 

 

  • NTP 설정(데몬 Enable 설정)

NTP 및 Chrony 클라이언트 설정을 물어보며, 따로 어려운 설정은 없다.

 

 

  • Autofs

Autofs 설정을 외워가는 것이 좋으며, 잘 모르겠다면 man page를 활용하자. 그 안에 예시 구문과 파일 예시가 정확하게 있어 2~3번 반복하고 man page를 보고하면 된다.

 

 

  • 사용자 계정 생성

특정 UID를 가진 계정을 생성해보는 연습을 하자.

 

 

  • 파일 찾기

find 명령어를 통한 파일 찾기를 하면 된다. 특정 uid, user 등의 예시로 공부하면 된다.

 

 

  • 문자열 찾기

grep 을 사용하여 > (리다이렉션)을 통해 특정 구문을 찾는 것을 공부하자.

 

 

  • 압축파일

tar tar.gz bz2 등을 공부해서 가자.

 

 

  • 컨테이너

컨테이너를 build , search, pull 하는 방법을 익혀 능숙하게 다뤄야 한다. 또한 rootless 설정을 요구하기 때문에 해당 부분을 집중적으로 공부해야 한다. 해당 섹터의 배점이 가장 크다. 난 0점을 받았다.
볼륨을 bind 하는 부분을 공부하자.

 

 

  • 개별 추가 문제

스크립트, umask, find 문 등 다양한 문제가 나올 수 있다.

 

 

  • root 패스워드 초기화

root 패스워드 초기화를 시켜야 한다. 간혹 버그로 인해 root 패스워드를 초기화 하는 과정에 문제가 발생 할 수 있는데, 이러면 Server B 에 대한 모든 부분은 0점 처리가 된다.

 

 

  • LVM 설정

LV 설정을 진행하고 특정 파티션의 사이즈를 변경 할 줄 알아야 한다. resize를 한 뒤 파일을 생성 삭제해보자.

 

 

  • LVM 생성

LVM 생성을 해야하며 PE LE에 대해 이해하는 부분이 필요하다. DUMP를 적으신 분의 답이 틀렸던 것으로 기억하나, 여기서 정확하게 기재하지는 않겠다. fstab 추가 필요

 

 

  • SWAP 영역 추가

SWAP 영역을 추가하는 부분이다. 파티션의 나머지 부분을 활용하여 SWAP 파티션을 만들어 준다.
fstab 추가 필요

 

 

  • VDO 생성(데몬 Enable 설정)

VDO를 생성해보고 가자. vdc의 영역이 파티셔닝이 되어있지 않은데, VDO는 파티셔닝이 되어있지 않은 볼륨에 설정하는 것이다. vdo 설치 및 enable 설정이 필수이다.

 

 

  • tuned 설정(데몬 Enable 설정)

tuned 설정을 하는 부분으로 tuned-adm 명령어를 통해 설정하며, recommed 옵션을 사용하여 설정한다.

 

 

합격 기준 및 시험 결과로 오는 항목

Dear XX X:

The results of your recent EX200 Red Hat Certified System Administrator Exam are reported below.

Exam domain number: 9
Passing score: 210
Your score: 259

Result: PASS

Congratulations – you have earned the Red Hat Certified System Administrator certification.

Performance on exam objectives:

 

OBJECTIVE: SCORE
Manage basic networking: 100%
Understand and use essential tools: 100%
Operate running systems: 100%
Configure local storage: 100%
Create and configure file systems: 100%
Deploy, configure and maintain systems: 89%
Manage users and groups: 75%
Manage security: 100%
Manage containers: 0%

 

  • 위와 같이 합격 메일이 오며, Passing score는 210점이다. 컨테이너 설정에서 서버 재기동 이후 자동으로 컨테이너 실행을 하지 못하여 0점 처리가 됐으나, 다른 부분의 점수가 높아 합격 점수를 넘을 수 있었다. 컨테이너 부분의 점수 비율이 높다고 했고 나머지 항목들이 거의 100점이니 대략 컨테이너 점수가 30~40점 사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마무리

  • 전반적으로 리눅스에 대한 부분이 나오지만 이미 리눅스를 자주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크게 어렵지 않다. 실무에서 사용하지 않는 부분을 익히고 자주 사용하지 않는 명령어를 사용하는 부분이 까다로울 뿐이다. 시험이라는 것에 대한 부담으로 인해 시험에 떨어질 수는 있으나, 자신의 실력이 부족해서 떨이진 경우는 드문 것 같다. (실무자일 경우)
  • 실무자가 아니라면, 리눅스라는 OS 자체가 어렵다. DOS 시절을 경험하지도 않았고 윈도우를 평상시에 애용한다면, 당연히 어렵다. 일반적으로 파티셔닝을 할 일이 없고 계정을 따로 만들어 사용하지 않는 사람이 대부분이다. 자격증 준비를 하면서 리눅스에 대해 전반적으로 이해하면 좋을 것 같다.
  • 해결되지 않는 버그가 있을 수 있다. 그럴 때에는 내가 잘못한 경우도 있겠지만, 정말 다 설정했는데도 제대로 적용이 안될 수 있다. 그러면 안타깝게도 재시험을 봐야 한다. 난 컨테이너가 리부팅 이후 기동이 되지 않았다. 그래서 0점을 받았고 나머지 부분에서 충분한 점수를 얻었기에 통과했다. 다른 사람은 root 패스워드 수정이 되지 않았다. 외국 포럼에서 동일한 부분에 대한 글이 있으나, 문제를 잘 못 푼 것인지, 진짜 버그가 있는 것인지는 확인하기가 어렵다.

연관 tag : #RHCSA
연결 문서 : 2023-11-15-RHCSA 문제 풀이
참고 :
https://alldrops.info/posts/linux-drops/2021-09-15_rhcsa-8-deploy-configure-and-maintain-systems/

이 글은 Obsidian 노트에서 작성하여 업로드 하는 글입니다.

반응형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