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설치

[LINUX] SuSE 15 설치

ㅎㄷㄹㅁㅇ 2023. 2. 16. 01:51
반응형

SuSE 15 SP 2 OS 설치

 

사전 준비

OS 설치 사전주비로는 VMware나 VirtualBox, KVM등의 가상 머신의 설치가 필요합니다. 일반적으로 사용 할 경우 노트북이나 PC등에서 리눅스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지 않기때문에 직접적인 설치보다는 가상머신 위에 설치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현재 포스팅에서는 OS 설치를 위주이지만 추후 다음 포스팅이 클러스터 설치로 넘어 갈 수 있게 네트워크 설정을 진행 할 것입니다. 

 

 

구성 환경

[가상머신_KVM]
Processor : 2
RAM : 2G
Network : 
iSCSI 용도 - 10.10.30.X
Service 용도 - 192.168.1.X
HeartBeat 용도 - 20.20.20.X 
(클러스터 간 통신용)

 
[OS Version]
SuSE 15 SP2
  • 가상머신으로 KVM을 사용했지만, VMware나 VirtualBox에서의 설치 또한 다르지 않습니다. 
  • 1대의 HOST 장비에 1대의 OS를 설치하고 복제하는 것이 사용에 용이합니다. 
  • 2대는 각각 node1,2가 되고 node3의 장비는 iscsi 서버가 될 것입니다. 

 

서버 구성도

 

  • 호스트네임 : ha-admin, ha-1, ha-2

 

SuSE OS 설치

 

1) 초기 화면 및 자동 설정

설치를 위해 Installation 선택

 

Next

 

Next

 

2) 설치 제품군 선택

언어 - 영어 / Product SuSE15 SP2

 

라인센스 동의

 

Skip

 

3) 사용할 Module 설정

Basesystem Module / SUSE Linux Enterprise High Availability Extension15SP2 / Server Applications Module

 

Next

 

 

4) System role 설정

Minimal 설치 이후 패키지 추가 설치로 진행

 

 

5) Partitioning 설정

파티셔닝은 /boot , / , swap으로 지정할 것이므로 Expert Partitioner 선택 (Guided Setup 선택 시 자동으로 파티셔닝)

 

 

Next

 

 

btrfs는 SUSE에서 root 파티션의 기본 파일 시스템입니다. btrfs는 하위 볼륨의 파일 시스템 스냅샷을 지원하는 COW(Copy-On-Write) 파일 시스템으로 snapper 명령어를 사용하여 스냅샷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vda 디스크 확인

 

 

왼쪽의 vda 클릭 후 Modify or Delete로 파티셔닝 구성

 

 

LVM 구성 방법 - Volume Management 클릭

 

 

Next

 

 

Next

 

 

Do not format device / Do not mount device

 

 

LVM 파티션 디스크 생성

 

 

vda2 를 ADD

 

 

Next

 

 

실제 LVM 영역을 파티셔닝

 

 

Accept

 

 

Add Logical volume으로 파티션 구성

 

 

/ 파티션 생성

 

 

/ 파티션 사이즈 설정

 

 

OS 영역으로 지정

 

 

Format Device 의 파일시스템을 구성해주고 마운트 포인트 지정 ( / )

 

 

동일한 방법으로 swap 구성

 

 

파티셔닝 완료 후 Next로 설치 진행

 

 

6) Timezone 설정

지역에 맞는 시간 설정 Asia/Seoul

 

 

7) User 설정

root 패스워드 설정

 

 

일반계정 생성 및 패스워드 설정 (필요 없을 경우 skip)

 

 

8) Installation Settings

방화벽이나 ipv4,6 사용여부를 enable/disable 할 수 있는 단계로 필요 시 enable 설정 불필요시 disable 설정

 

 

9) Software Selection

서비스 설정 관련 Software 클릭

 

 

특정 서비스 설치 여부 확인

 

 

설치 진행 및 완료

 

패키지 관리 툴 Zypper 명령어 

 

ZYpp은 YaST와 같은 리눅스 배포판에 기능을 제공하는 패키지 관리자 엔진입니다. 패키지 레포지토리 설정, 의존성 해결, 패키지 설치를 하는 패키지 관리 툴입니다. 

# zypper lr (레포지토리 확인)
# zypper mr -e 1 2 3 (지정한 번호의 레포지토리 enable)
# zypper mr -d 1 2 3 (지정한 번호의 레포지토리 disable)
# zypper install <package name> (패키지 설치)
# zypper install -t pattern <pattern name> (그룹패키지 설치)
# zypper search <package name> (패키지 검색)
# zypper search -t pattern <pattern name> (그룹패키지 검색)

 

 

 

Ref

 

* 참고 사이트 & 문헌
https://ko.wikipedia.org/wiki/ZYpp

 

반응형

'리눅스 > 설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1. ANSIBLE 설치  (0) 2022.03.01
[리눅스] Rescue Mode  (0) 2022.02.07
[리눅스] ReaR(Relax-and-Recover) 백업  (0) 2022.02.03
[Ubuntu] DevStack 설치하기  (0) 2021.12.3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