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51

[LINUX]localrepo 및 원격 repo 구성

리눅스 Repolist 구성목차local repo 구성 및 원격 repo 구성local 설정 이후 원격에서 http 로 접근하여 yum repo 를 구성한다. 실제 서버에서 repo만 담당하는 서버를 구축하는 방법이다. local repo 의 장점은 설치 속도가 원격 repo 보다 빠르다는 단점이 있지만, iso 이미지를 관리하는데 있어 모든 장비마다 최신 iso 적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local repo 서버 설정### local repo 구성 ###$ mount /dev/sr0 /media[rhel8_BaseOS] name=rhel8_BaseOSbaseurl=file:///media/BaseOS enabled=1 gpgcheck=0 [rhel8_AppStream] name=rhel8_AppSt..

리눅스/OS 설정 2023.11.22

[LINUX]Telnet session 값 변경 (MaxConnections)

Telnet Max session 설정 목차 리눅스 7버전 이상의 변경 방법 Telnet 설정의 경우 OS 7 버전부터 xinetd 설정 이외에 systemd 설정에서 Max connections 설정을 진행한다.telnet 설치 # yum install telnet-server Rocky8.7_BaseOS 621 kB/s | 3.9 kB 00:00 Rocky8.7_AppStream 583 kB/s | 4.3 kB 00:00 Dependencies resolved. =======================================================================================================================================..

리눅스/OS 설정 2023.11.20

[LINUX]라우팅 매트릭 및 최적 경로

Routing목차라우팅은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보낼 때 최적화된 경로를 선택하는 프로세스입니다. 컴퓨터 네트워크는 노드라고 하는 여러 시스템과 이러한 노드를 연결하는 경로 또는 링크로 구성됩니다. 연결된 네트워크에서 노드 간의 통신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이루어지고 이는 최적화된 경로는 최단 거리, 빠른 도달 시간 등의 값으로 정해 질 수 있습니다.  간단하게 말해 라우팅은 미리 정해진 규칙을 사용하여 최상의 경로를 선택하는 것입니다.  라우팅 최적 경로 선택에 있어 가장 중요한 3가지 요소는 prefix length, administrative distance(AD), Metric입니다.라우팅 순서Longest Match Rule → AD(Administrative Disntance) → Metricpr..

리눅스/개념 2023.11.18

[ISSUE] 네트워크 명령어 지연

네트워크 명령어 지연 네트워크 명령어인 route, netstat 등의 명령어 사용 시 명령어 결과가 늦게 나오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습니다. 특정 명령어를 그냥 사용 할 때와 옵션을 사용했을 때의 지연의 차이가 발생했음을 인지했습니다. 목차 설명특정 장비에서 route 명령어와 route -n 명령어의 결과 값이 나오는 속도의 차이가 났습니다. netstat, ssh 등 네트워크 관련된 명령어에서 지연이 발생했고 resolv.conf 파일의 nameserver의 문제가 있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증상특정 장비에서 route 명령어와 route -n 명령어의 결과 값이 나오는 속도가 차이가 났습니다. netstat ssh 등 네트워크 관련된 명령어에서 지연이 발생했고 resolv.conf 파일의 name..

[HA] Pacemaker Cluster (CentOS7, KVM, pacemaker) - 1

Pacemaker 구성 1 목차 클러스터란 두대 이상의 서버들을 하나로 묶어서 하나의 서버로 동작하게 하는 것을 말합니다. 클러스터는 고가용성(High-availability, HA), 부하분산(load balance)등이 있습니다.  클라이언트들에게 서버 기반 정보를 지속적이고 더 높은 효율로 제공 받을 수 있게 하는 것에 목적이 있습니다.시스템에서의 고가용성이란 운영 성능이 기준치에 맞게 충족되는 것을 말합니다. 특정 서버나 서비스의 종료 없이 지속적인 운영이 가능하게 하는 것을 말합니다. 추가로 문제가 생긴 서버나 서비스의 복구가 가능하고 정상화 할 수 있는 신뢰 높은 시스템을 뜻합니다.  고가용성 클러스터는 이중화 상태에서 fail-over 기능이 제공되어 한 노드에서의 장애가 발생해도 클러스터링..

[LINUX] SWAP OFF

SWAP 파티션 OFF Linux에서 SWAP은 시스템의 RAM(메모리)을 FULL로 사용하는 경우 필요에 따라 가상 메모리로 사용되는 하드디스크의 공간을 의미합니다. 시스템이 프로세스를 실행할 때 RAM(메모리)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 Linux 커널은 가장 적게 사용되거나 비활성 데이터 중 일부를 RAM에서 SWAP 공간으로 이동합니다. SWAP 공간은 하드디스크의 파티션으로 만들어 사용 하는 경우와 SWAP 파일을 마운트하여 사용 할 수 있습니다. SWAP을 사용하면 시스템의 메모리 부족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지만 데이터를 하드디스크로 SWAP하는 것이 RAM의 데이터에 액세스하는 것보다 느릴 수 있다는 점에서 실제 사이트에서는 SWAP을 사용은 하되 OS 파라미터 최적화를 통해 빨리 반환되..

리눅스/OS 설정 2023.04.28

[LINUX] 셸(Shell)이란?

리눅스에서의 Shell Shell이란 시스템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말합니다. 리눅스, 유닉스를 사용하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아 그 입력을 바탕으로 프로그램을 실행합니다. OS에서는 특정 작업에 따라 CLI(command-line-interface) or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사용하고 이를 shell, 바깥층의 개념으로 이름지어졌습니다. CLI를 이용한 Shell을 사용시 명령어와 호출을 하는 구문에 익숙해야 하며, Shell의 종류는 다양합니다. 목차 셸 프롬프트(Shell Prompt) Bash shell을 기준으로 명령 프롬프트라고 하는 프롬프트 #(root,최상위계정),$(일반계정)는 셸에 의해 실행됩니다. 프롬프트가 표시되는 동안 명령을 입력할 ..

[오픈스택] TripleO란?

RHOSP에서의 TripleO TripleO란? TripleO는 "OpenStack-On-OpenStack"을 의미한다. O가 3개여서 TripleO입니다. RHOSP(Red Hat OpenStack Platform)에서 사용되는 배포 도구입니다. TripleO는 OpenStack 자체를 배포 도구로 활용하여 OpenStack 클라우드 배포를 단순화하고 자동화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TripleO는 Heat, Ironic 및 Nova와 같은 다른 OpenStack 서비스와 통합되는 OpenStack 프로젝트입니다. 간단하게 말하면 오픈스택을 통해 오픈스택을 배포하는 것입니다. TripleO 배포에는 언더클라우드와 오버클라우드라는 두 가지 주요 구성 요소가 있습니다. 언더클라우드는 오버클라우드의 배포 및 구..

리눅스/개념 2023.03.10

[LINUX] SuSE 15 설치

SuSE 15 SP 2 OS 설치 목차 사전 준비 OS 설치 사전주비로는 VMware나 VirtualBox, KVM등의 가상 머신의 설치가 필요합니다. 일반적으로 사용 할 경우 노트북이나 PC등에서 리눅스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지 않기때문에 직접적인 설치보다는 가상머신 위에 설치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현재 포스팅에서는 OS 설치를 위주이지만 추후 다음 포스팅이 클러스터 설치로 넘어 갈 수 있게 네트워크 설정을 진행 할 것입니다. 구성 환경 [가상머신_KVM] Processor : 2 RAM : 2G Network : iSCSI 용도 - 10.10.30.X Service 용도 - 192.168.1.X HeartBeat 용도 - 20.20.20.X (클러스터 간 통신용) [OS Version] SuSE 15 ..

리눅스/설치 2023.02.16

[LINUX] 사용중인 PCI slot 확인 방법

HBA Port 의 WWN 확인 명령어 WWN 이란? WWN이란 HBA 카드와 스토리지 간 통신을 위한 고유 주소를 뜻합니다. 명령어의 결과에서는 Port Name으로 나타납니다. 명령어를 통한 WWN 확인 아래 명령어를 통해, 현재 사용중인 PCI 정보를 확인하고 Slot에서 사용하는 Bus 주소를 수집합니다. 각 수집 한 정보를 토대로 WWN 정보를 확인합니다. # lspci | grep -i fibre # dmidecode -t slot | grep -i "in use" -B2 -A5 # for LIST in `lspci | grep -i "fibre channel" | cut -d "." -f 1 | uniq`; do dmidecode -t slot | grep ${LIST} -B7 && echo..

리눅스/OS 설정 2023.01.27

[ISSUE] 리눅스 9시간 차이 (RTC / TIMEZONE / Local time)

리눅스 시간 설정 설명 리눅스와 하드웨어(서버) 시간 차이로 리눅스 상에서 이상하게 기록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증상 서버를 부팅하다보면 messages log 나 boot.log 의 부팅시간이 현재 시간과 다르게 나타나 시간이 꼬여 보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하드웨어의 시간과 OS 설정 시간이 다르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명령어를 통한 확인 # timedatectl 결과 [root@test~]# timedatectl Local time: Thu 2023-01-26 16:31:06 KST Universal time: Thu 2023-01-26 07:31:06 UTC RTC time: Thu 2023-01-26 07:31:06 Time zone: Asia/Seoul (KST, +0900) Syst..

[ISSUE] pip3 를 통한 install 실패 현상

pip3 install fail 증상 "Command "python setup.py egg_info" failed with error code 1 in /tmp/pip-build-1rro8yl1/cryptography/" 해당 로그 발생과 함께 pip3 인스톨이 진행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root@master kubespray]# pip3 install -r requirements.txt WARNING: Running pip install with root privileges is generally not a good idea. Try `pip3 install --user` instead. Collecting cryptography==3.4.8 (from -r requirements.txt (li..

[ISSUE] Dell vxrail / VMware 3개 이상의 VMXNET3 인터페이스 추가 시 인터페이스 순서가 바뀌는 현상

VMware VMXNET3(10G) 인터페이스 순서 꼬임 현상 설명 SuSE를 사용하는 VMWare에서 VMXNET3 NIC 카드가 3개 이상 있는 경우 추가된 NIC 카드와 실제 가상 장비의 인터페이스는 순서가 정확하게 Mapping 되지 않았습니다. 증상 이미 2개의 NIC 카드를 셋팅해둔 가상장비에서 NIC카드를 추가했을 경우 NIC 인터페이스의 순서가 변경되는 경우를 발견했습니다. 확인 내용 아래 표를 확인 하면 가상 머신에서 추가되는 vSphere adpater와 인터페이스 name 순서가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현재 테스트 환경에 VMware 장비가 없어 정확한 확인이 어렵지만, 실제 사이트에서 작업을 했을 때 ethtool 명령어를 통해 bus-info 주소를 확인했습니다. 기존에..

[LINUX] UserTasksMax 확인 및 변경

UesrTasksMax UserTasksMax란? 각 사용자가 동시에 실행할 수 있는 최대 OS 작업 수를 말합니다. 사용자별 슬라이스 단위의 UserTasksMax=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SuSE15에서 UserTasksMax 적용 * 현재 계정에서 Tasks 확인 (Default=infinity) # systemctl show --property TasksMax user-.slice * TasksMax 16284로 변경 # vim /etc/systemd/logind.conf [Login] ... UserTasksMax = 16284 #UserTasksMax = infinity # systemctl daemon-reload # systemctl show --property TasksMax user-..

[SAP HANA] sapconf vs saptune

SAPconf / SAPtune SAPconf / SAPtune ? SAPconf는 SAP 워크로드에 대해 시스템을 준비하기 위한 최소한의 tool입니다. SAP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해 OS Kernel 파라미터를 변경하는 도구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부팅 시 sysctl 를 사용하여 동적으로 커널 매개변수를 SAP 시스템의 권장 값으로 설정합니다. SAPtune은 더 세분화된 tool입니다. 전체 SAP note를 적용할 수 있으며 더 많은 solution을 제공합니다. SAP note와 solution을 쉽게 적용하고 시스템 변경 사항을 시뮬레이션 및 확인할 수 있습니다. SAPconf 와 SAPtune을 동시에 사용 할 수 없는 것으로 확인됩니다. SAPconf / SAPtune 데몬의 실행이 가능한..

반응형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