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리눅스 6

[RHCE] 시험 전 Check Point + 후기

Remote 시험이번 시험은 방문해서 시험을 본 것이 아니라, remote 시험을 치뤘다. 이전 RHCSA 시험의 경우엔 [영우 디지털]을 방문하여 진행했으나, 지인 중 remote 시험을 치는게 내가 원하는 시간대에 볼 수있다는 장점을 강조하여 remote로 신청했다. 결과적으로 필요한 준비물이 생각보다 많고 준비하는 것이 귀찮아 장,단점이 있는 것같다. 준비물의 경우엔 노트북 사용의 경우 외부 웹캠, 유선 마우스, LiveOS 부팅 USB 정도를 가지고 시험을 치루면 된다. 웹캠이나 유선 마우스의 경우에는 구매를 하면 간단하게 해결이 되고 LiveOS USB도 사실 부팅이미지를 만들고 부팅만 해주면 쉽기 때문에 어렵진 않으나, USB가 제대로 부팅되지 않으면 난감하고 찾는데 시간이 소요된다. (나의 ..

리눅스/자격증 2025.04.18

[LINUX] iscsi.service vs iscsid.service

iscsi 와 iscsid 차이목차 iscsi 란iscsi.service는 iscsi device를 scanning 하고 장치에 로그인 하거나, 중지 시 logout 을 담당합니다. iscsid 란iscsid.service는 설정의 자동 로그인/로그아웃을 관리하는 데 사용됩니다. iscsid.service는 iscsid의 lifecycle을 관리하며 iscsi.service에서 수동으로 iscsadm 명령을 실행할 때 소켓 활성화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시작됩니다.요약하자면, iscsid.service는 iscsid 데몬 실행을 담당합니다., iscsi.service는 /var/lib/iscsi 하위의 설정 값을 기반으로 target에 연결하도록 iscsid에게 요청합니다. iscsi, iscsid Serv..

리눅스/개념 2024.08.28

[ISSUE] 네트워크 명령어 지연

네트워크 명령어 지연 네트워크 명령어인 route, netstat 등의 명령어 사용 시 명령어 결과가 늦게 나오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습니다. 특정 명령어를 그냥 사용 할 때와 옵션을 사용했을 때의 지연의 차이가 발생했음을 인지했습니다. 목차 설명특정 장비에서 route 명령어와 route -n 명령어의 결과 값이 나오는 속도의 차이가 났습니다. netstat, ssh 등 네트워크 관련된 명령어에서 지연이 발생했고 resolv.conf 파일의 nameserver의 문제가 있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증상특정 장비에서 route 명령어와 route -n 명령어의 결과 값이 나오는 속도가 차이가 났습니다. netstat ssh 등 네트워크 관련된 명령어에서 지연이 발생했고 resolv.conf 파일의 name..

[LINUX] 사용중인 PCI slot 확인 방법

HBA Port 의 WWN 확인 명령어 WWN 이란? WWN이란 HBA 카드와 스토리지 간 통신을 위한 고유 주소를 뜻합니다. 명령어의 결과에서는 Port Name으로 나타납니다. 명령어를 통한 WWN 확인 아래 명령어를 통해, 현재 사용중인 PCI 정보를 확인하고 Slot에서 사용하는 Bus 주소를 수집합니다. 각 수집 한 정보를 토대로 WWN 정보를 확인합니다. # lspci | grep -i fibre # dmidecode -t slot | grep -i "in use" -B2 -A5 # for LIST in `lspci | grep -i "fibre channel" | cut -d "." -f 1 | uniq`; do dmidecode -t slot | grep ${LIST} -B7 && echo..

리눅스/OS 설정 2023.01.27

[ISSUE] 리눅스 9시간 차이 (RTC / TIMEZONE / Local time)

리눅스 시간 설정 설명 리눅스와 하드웨어(서버) 시간 차이로 리눅스 상에서 이상하게 기록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증상 서버를 부팅하다보면 messages log 나 boot.log 의 부팅시간이 현재 시간과 다르게 나타나 시간이 꼬여 보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하드웨어의 시간과 OS 설정 시간이 다르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명령어를 통한 확인 # timedatectl 결과 [root@test~]# timedatectl Local time: Thu 2023-01-26 16:31:06 KST Universal time: Thu 2023-01-26 07:31:06 UTC RTC time: Thu 2023-01-26 07:31:06 Time zone: Asia/Seoul (KST, +0900) Syst..

[LINUX]HA Pacemaker란?

Pacemaker란? Pacemaker 고가용성(High-availability)의 클러스터 리소스 관리자입니다. Corosync에서 제공하는 메시징 및 멤버십 기능을 활용하여 노드의 장애를 감지하고 복구하여 클라이언트에게 최고 효율을 제공합니다. 클라이언트들에게 서버 기반 정보를 지속적이고 더 높은 효율로 제공받을수 있게 하는 것에 목적이 있습니다. Pacemaker 장, 단점 [장점] - 클러스터는 확장 가능한 솔루션으로 리소스를 추가 할 수 있는 유동성이 있습니다. - Fail-over 라는 기본 속성으로 서버 작업 간 서버스의 중단 없이 운용이 가능합니다. [단점] - 관리의 어려움이 있습니다. 클러스터 노드의 설정 변경이나 다른 작업이 있을 때 상시 모니터링이 이루어져야합니다. - 구성과 유지보..

리눅스/개념 2021.01.06
반응형
TOP